한겨울에 빨간 꽃을 핀 좀바위솔 오늘 4월에 이 돌을 가져가지 않으면 제게 분양을 약속한 한라산 돌입니다. 바가지 돌로 물이 새지 않습니다. 자연이 만든 돌이기에 더욱 눈길이 가는데요. 그런데 말입니다. 이 돌에 붙인 좀바위솔이 예쁜 꽃을 피웠습니다. 그것도 한 겨울에 말입니다. 그 이유는 4구짜리 연탄난로 옆에 ..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12.24
곱게 물들고 있는 털진달래 한라산과는 다른 환경이지만 상강이 지나자 제법 쌀쌀한 기운이 느껴집니다. 아침저녁으로는 겨울 흉내도 내고 있구요. 그래서 이렇게 예쁘게 물들고 있는 거겠죠. 모처럼 주인을 반겨주는 돌붙임 털진달래가 제 눈에 띄어 사진놀이를 했구요. 또 이렇게 블로깅 놀이에 빠져 행복해합니..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10.24
야생화 석부 산바위 표면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야생화 좀바위솔을 소개합니다. 동그랗게 생긴 한라산 관통석 위해 포천 미니 좀바위솔을 붙였는데요. 활착이 잘 됐는지 해를 거듭할수록 촘촘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자연의 신비가 느껴지구요. 마치 태고적 자연의 힘과 아름다움이 느껴집니다.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09.07
돌붙임 털진달래 아래의 털진달래는 10년 전에 분에 올려 관리됐던 나무였습니다. 그 나무를 취미인에게 구입했구요. 화분에 있었을 때 뭔가 부족한 것을 느껴 괜찮은 현무암 석질의 바가짓돌을 구입해 바로 돌붙임했는데요-, 그 햇수도 이젠 만 3년이 됐습니다. 처음엔 많이 부족해 보였는데, 시간이 갈수..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08.22
백록담을 닮은 한라산 돌 한라산 현무암입니다. 제가 소장한 돌 중 하나구요. 이 돌은 물을 담을 수 있습니다. 물을 담으면 마치 한라산 백록담을 보는 것 같아 참으로 황홀한 기분이 듭니다. 이 돌이 특별한 것은 아주 작은 좀바위솔이 촘촘히 식재돼 있어 사계절의 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는 가..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08.14
석부(石付) 작품 스승님이 한나절 동안 뚝딱 만진 끝에 아래의 돌붙임.석부(石付)가 완성됐습니다. 깎아지른 주봉(主峯)과 그 옆의 작은 봉우리가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계곡마다 작은 나무들과 야생화가 촘촘히 박혀 있어 마치 금강산을 축소한 것 같은 천혜(天惠)의 비경(秘境)을 담고 있습니다...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07.24
이제 자리를 잡은 모양입니다 식물에게 있어 분갈이는 굉장한 스트레스가 아닐 수 없습니다. 잘못할 경우 죽기도 하니까요. 제가 분갈이 한 후 몇 차례 죽여봤기에 잘 압니다. 그래서 돌붙임한 나무의 경우는 더 신경이 쓰이는 모양이에요. 아래의 털진달래 나무는 지난 해 가을에 한라산 현무암에 올려 가꾸고 있습니..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06.01
돌에 올릴 털진달래 대작(大作) 제 블로그를 통해 자주 소개되는 수목(樹木)이 털진달랩니다. 사계절(四季節)의 아름다움을 오롯이 담고 있는 화목(花木)이 털진달래죠. 봄에는 진분홍 꽃이 피고, 꽃이 진후 잔털이 난 연록의 이파리도 보기 좋고, 여름에는 진록의 이파리가 건강함을 보여주며, 가을에는 붉게 물든 단풍..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06.01
돌붙임 털진달래 돌붙임(石付)한 털진달랩니다. 세심한 관리를 했어야 했는데 작년 급하게 돌에 붙여 세력을 잃었던 모양입니다. 지난 겨울 혹시 죽지 않을까 걱정을 많이 했는데, 주인의 애타는 마음을 읽었을까요? 걱정 없다는 신호를 보여주며 예쁜 짓을 합니다. 나목(裸木) 상태에서는 거의 죽은 듯 했..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7.06.01
털진달래 석부 잘 생긴 평석에 앉힌 석부 털진달래의 寒樹(한수)를 보며 한 해(2016년.병신년)을 되돌아 봅니다. 뽀얀 속살을 드러낸 모습도 참 아름답습니다. 깨끗하기에 부끄러움이 없는 자연의 모습... 탐욕스러운 인간들이 이런 모습을 배웠으면 좋을 텐데... 언제쯤이면 이 땅에 不淨과 貪慾이 사라질..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6.12.26
활착이 잘 된 모양입니다 잘 생긴 털진달래를 석부작(돌붙임)한 것인데요-, 이제는 제대로 활착한 모양입니다. 단풍도 들고... 내년 봄 뒷편 가지를 조금씩 당겨 수형교정을 하려 합니다. 외쪽에 직선으로 올라간 가지는 내년 초봄에 잘라낼 것구요. 그렇게 조금씩 손을 보면 아주 근사한 나무가 될 거라 믿습니다. ..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6.10.23
털진달래 1.2.3 꽃분재 중 가장 아끼는 분목이 한라산 털진달랩니다. 그 특별함은 여느 꽃나무와는 비교불갑니다. 8자 성어로 설명을 대신할까 합니다. "이해불문 비교불가"... 모진풍파를 이겨낸 꽃나뭅니다. 모두다 한라산 1700고지에서 나온 생명력이 강한 나무구요. 그래서 제가 가장 아끼는 나뭅니다(.. 돌붙임나무(石付盆栽.석부분재) 2016.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