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30cm가 조금 넘는다는 부연설명과 함께 2장의 사진을 전송받았다.
산돌이고, 제주의 환경이 만들어낸 흔적들이 이끼 속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사진 상으로는 손을 본 것 같지는 않은데 아무튼 이런 돌을 품을 수 있게 된 것은 큰 복이 아닐까 싶다.
잘 생긴 석화회를 하나 찾아서 우측이나 좌측에 공간이 확보되면 돌붙임 하려 한다.
이 돌이 좋은 점은 돌을 손볼 필요가 없다는 것! 시간이 지나면 물이 자연스럽게 빠져 구멍을 낼 이유가 없다는 것!
'수석산방(壽石山房)'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안도 둥근돌 (0) | 2022.04.29 |
---|---|
왕등도 상고대 돌-, 명(銘) 설화(雪花) (0) | 2022.04.25 |
해를 품은 화산 송이석 (0) | 2022.04.23 |
소청도 화조도(花鳥圖) (0) | 2021.05.09 |
소청도 춘화(春畵) (0) | 202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