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포레스트(Little Forest)

국중박_Little Forest_작은 숲 7

백자 철화 포도.원숭이 무늬 항아리(白瓷 鐵畵葡萄猿文 壺)

조선 후기 철화백자로 국보 제93호 항아리다.정확한 작품명은 백자 철화 포도. 원숭이 무늬 항아리(白瓷 鐵畵葡萄猿文 壺)로 높이 30.8cm.몸통 전면에 탐스럽게 열린 포도와 포도넝쿨을 잡고 노니는 원숭이를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유백색 바탕에 철화 안료의 깊고 진중한 색감과 능숙한 필치가 어우러져원숙한 세련미를 드러낸다.  18세기 전반 경기도 광주 금사리에 위치했던 관요에서 제작.

분청사기 철화 연꽃.물고기무늬 병(粉靑沙器鐵畵魚文甁)

조선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제작된분청사기 철화 연꽃. 물고기무늬 병(粉靑沙器鐵畵魚文甁)이다.높이 29.7cm, 몸통지름 17.9cm 크기로 계룡산 학봉리 가마에서 만든물고기무늬 병이다.병 전체에 귀얄로 백토를 입힌 다음 몸체 중간 부분에는 짙은 갈색을 띠는 철화 안료를 사용하여물고기와 연꽃을 교대로 그려 놓았다. 물고기는 점을 찍어 비늘까지 세밀하게 묘사하였고 마치 뛰어오를 것처럼 생동감이 있다. 지느러미를 한껏 펼친 얼룩무늬 물고기는 쏘가리로 추측된다. 쏘가리는 한자로 궐어(鱖魚)라 하는데, 궁궐의 궐과 음이 같아서 귀하게 여겨졌고, 시문과 회화 등에도 자주 등장했다.

달항아리

최대 지름과 높이가 거의 1:1 비율을 이루는 둥근 항아리다. 그 모습이 보름달을 닮아 '달항아리'라고 불린다.  반원형 몸체를 위아래로 이어 붙여서, 몸체 가운데에 접합한 흔적이 있다. 좌우 대칭이 살짝 어긋난 느낌을 주지만, 자연스럽고 편안한 미감으로 조선 후기 백자의 조형성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17세기 제작된 기물로 보물 제1437호.

백자 항아리(백자요.白瓷壺)

푸른 기가 살짝 감도는 순백색의 대형 항아리로 높이 36.8cm, 입지름 15.8cm, 바닥지름 15.5cm 크기. 입구 부분이 둥글게 말리고 몸체의 무게 중심이 어깨에 있는데, 이는 조선 15~16세기 백자 항아리의 특징이다. 경기도 광주 관요에서 만든 최고급 백자로 왕실 행사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의 활기찬 기풍을 반영하듯 전체적으로 당당한 기운이 넘친다. 당당하게 부푼 어깨에서 볼 수 있듯이 당당(호방)하다. 또한 몸체의 무게 중심이 안정적인 아주 잘생긴 항아리다.

분청사기 철화 넝쿨무늬 항아리

흰 흙을 그릇에 바르고 철화 안료로 넝쿨무늬를 소용돌이치듯이 속도감 있게 표현했다. 초서체로 쓴 서예 작품을 보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활달하게 붓을 움직여 무늬를 장식하는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학봉리 철화분청사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끊어질 듯 유연하게 이어지는 힘찬 붓놀림은 매우 예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