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실은 태(胎)를 담은 항아리를 길지(吉地)에 묻어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였다.
큰 항아리 안에 넣는 내 항아리로 추정되는 이 백자 항아리는 외반 된 구연에서 벌어져 원통형에 가깝게 내려가다
굽에 이르는 형태로 어깨에는 뚜껑의 고리와 연결하여 묶을 수 있도록 네 개의 고리가 부착되어 있다.
이 항아리는 뚜껑이 전해지지 않으며 관요설립 이후 정형화된 입호형태의 백자 태항아리와 달리
굽이 달린 초선초 분청사기 태항아리와 형태가 유사하다.
조선 16세기에 제작된 높이 21.0cm, 입지름 9.2cm, 굽지름 7.5cm 크기로 경기도자박물관 유물이다.
'경기도자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자철화 운룡문 항아리(白瓷鐵畵雲龍文壺) (0) | 2022.04.17 |
---|---|
백자철화 초문 병(白瓷鐵畵草文甁) (0) | 2022.04.17 |
백자 합(白瓷盒) (0) | 2022.04.17 |
백자 소문 편병(白瓷素文扁甁) (0) | 2022.04.17 |
백자 편병(白瓷扁甁)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