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항아리는 국가의 중요행사에서 술을 담아두거나 꽃을 꽂아 장식하는 의례기로 좌우에 쌍으로 배치된다.
목이 곧고 높으며 풍만한 어걔외 좁게 내려가는 하단부에는 여의두문을 두르고
구름 사이로 여의주를 향해 포효하는 용을 청화안료로 그려 넣었다.
안정감 있고 필치가 유려한 이 항아리는 18세기 후반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조선 18세기에 제작된 높이 38.0cm, 입지름 14.6cm, 굽지름 16.4cm 크기로 경기도자박물관 상설전시장에 만날 수 있다.
'경기도자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인화 매병(粉靑印花梅甁) (0) | 2022.04.17 |
---|---|
백자청화 운봉문 항아리(白磁靑畫雲鳳紋壺) (0) | 2022.04.11 |
백자상감 연화문 대접(白瓷象嵌蓮花文大楪) (0) | 2022.04.11 |
백자상감 화문 병(白磁象嵌花文甁) (0) | 2022.04.11 |
백자상감 '천'명 접시(白磁象嵌'天'銘楪匙)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