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초기 왕실의 그릇으로 채택된 백자의 장식으로 분청사기를 계승한 흑상감 문양들이 시문되어
관요가 설립되는 15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다.
이 상감백자 병은 나팔형 구연에서 잘록하게 내려가 동체 하단부가 둥글게 부풀어 안정감이 있는 주병 형태이다.
동체에는 위아래를 횡선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상단에는 연판문을 둘렀으며
중심에 다서 도식화된 연화문을 흑상감하였다.
높은 수직굽을 제외한 동체에 담청색 유약을 시유하였으며, 굽 안바닥을 다져낸 흔적이 있다.
조선 15세기에 제작된 높이 34.5cm, 입지름 8.3cm, 굽지름 9.8cm 크기로 경기도자박물관 소장 유물이다.
'경기도자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자청화 운룡문 항아리(白磁靑畵雲龍文壺) (0) | 2022.04.11 |
---|---|
백자상감 연화문 대접(白瓷象嵌蓮花文大楪) (0) | 2022.04.11 |
백자상감 '천'명 접시(白磁象嵌'天'銘楪匙) (0) | 2022.04.11 |
백자 대접(白瓷大楪) (0) | 2022.04.11 |
분청조화 모란문 항아리(粉靑彫花牡丹文壺)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