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통 부분이 적당하게 부풀어 올라 안정감 있는 분청사기 병이다.
분청사기란 분장회청사기의 줄임말로 회청색의 그긋에 분장토를 입힌 뒤 여러 기법으로 장식한 자기를 말한다.
병의 전면에 귀얄붓으로 백토를 치한 후, 철화안료를 사용하여 당초넝쿨을 그려 넣었는데,
병의 전면을 돌려가며 백토를 빠른 속도감과 넝쿨을 연결하는 대답한 붓질에서 숙달된 장인의 솜씨가 엿보인다.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일대 가마터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추상화를 연상시키듯 자유분방하고 거침없는 분청사기의 매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높이 31.0cm, 입지름 7.0cm, 굽지름 11.0cm
'경기도자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인화 국화문 합 (0) | 2022.04.03 |
---|---|
청자양각 모란문 대접(靑瓷陽刻牧丹紋大楪) (0) | 2022.04.03 |
분청상준(粉靑象樽) (0) | 2022.03.31 |
분청인화(粉靑印花) 예빈(禮賓) 명 대접 (0) | 2022.03.29 |
청자상감(靑瓷象嵌)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 잔(盞)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