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감청자 편병은 편형한 동체 양면에 2중의 화창을 내고 연못의 정경을 묘사하였는데,
하늘거리는 연꽃과 물결 사이로 헤엄치는 오리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동체의 위 아랫단에는 연판문을 장식하고, 화창 주위는 간략화된 운학문을 빼곡히 장식하여
회화적 문양과 도안적 문양이 어우러진 고려 후기 청자의 조형미를 잘 보여준다.
높이 28.0cm, 입지름 7.0cm, 굽지름 9.0cm
'경기도자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인화(粉靑印花) 예빈(禮賓) 명 대접 (0) | 2022.03.29 |
---|---|
청자상감(靑瓷象嵌)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 잔(盞) (0) | 2022.03.29 |
청자음각(靑磁陰刻) 보상화문(寶相花文) 발(鉢) (0) | 2022.03.29 |
청자음각(靑磁陰刻) 앵무문(鸚鵡文) 발 (0) | 2022.03.29 |
햇무리굽 고려백자(高麗白瓷)와 고려청자(高麗靑瓷)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