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합(飯盒)으로 불리는 이 백자 합은 높은 굽에서 양감 있는 곡선으로 뻗어 올라가는 발의 구연에 두툼한 띠가 도드라져 있다. 잡물이 섞인 백토에 맑은 투명유를 시유하였으며, 보주형의 손잡이가 달려있는 납작한 반원형의 뚜껑은 내면 6곡에 태토빚음을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있다. 세종실록 오례의(世宗實錄 五禮儀)의 명기조(明器條)에 '뚜껑이 있는 자기제 밥그릇'으로 기록되어 있는 기형으로 예법과 격식을 갖춘 단정한 풍모를 보여준다. 조선 16세기에 제작된 높이 18.0cm, 입지름 13.0cm, 굽지름 6.0cm 크기로 경기도자박물관 상설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